공무원 정년 전에 퇴직하면 명예퇴직수당을 지급받을 수 있는데, 급수와 정년 잔여 기간에 따라 명예퇴직수당이 차등 지급됩니다. 정년 잔여 기간이 짧을수록 수당이 높아지고, 급수가 높아질수록 지급액이 증가한다는 것이죠. 오늘은 공무원 명예퇴직수당 실수령액과 계산법이 어떻게 되는지 모두 취재하여 보았습니다.
목차
기준 및 조건
먼저 본 글에서 공무원 명예퇴직수당 계산식은 「국가공무원 명예퇴직수당 등 지급 규정」 별표1(명예퇴직수당 지급액 산정표)에 근거하였고, 퇴직 기준은 9급 1호봉으로 임용되어 30년 간 일하고 6급~3급에서 정년을 1~4년간 남겨놓고 명예퇴직하였을 때를 가정하였습니다.
기본급여는 2025년도 기본급을 기준으로 하였으며, 공무원은 승진 시 1호봉씩 감하는 걸 감안하여 아래와 같이 기본급을 책정하였습니다.
- 6급(27호봉): 4,621,100원
- 5급(26호봉): 5,270,000원
- 4급(25호봉): 5,723,500원
- 3급(24호봉): 6,408,500원
공무원 명예퇴직수당 계산 공식
본 글에서는 정년을 1~4년 앞두고 퇴직하는 경우를 가정하였기 때문에 계산 공식은 아래와 같습니다. 여기서 ‘월봉급액’은 명예퇴직할 당시 수당을 제외한 순수 기본급을 뜻하는 것이니 함께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명예퇴직수당 = 월봉급액 x 0.5 x 정년잔여일수
급수별 기준 기본급 계산
월 기준 기본급 산정은 호봉제와 성과급적 연봉제 적용 여부에 따라 약간의 차이가 있으나, 본 글에서는 편의상 호봉제 공무원 봉급표를 기준으로 봉급표상 월봉급액의 68%를 적용하였습니다.
- 6급(27호봉): 4,621,100원 * 0.68 = 3,141,348원
- 5급(26호봉): 5,270,000원 * 0.68 = 3,583,600원
- 4급(25호봉): 5,723,500원 * 0.68 = 3,895,980원
- 3급(24호봉): 6,408,500원 * 0.68 = 4,357,780원
정년 잔여 기간별 수당 계산
앞서 설명드린 기준을 근거로 명예퇴직수당을 계산하면 아래와 같습니다.
6급(27호봉)
- 1년 남을 경우: 3,141,348 * 0.5 * 12 = 18,848,088원
- 2년 남을 경우: 3,141,348 * 0.5 * 24 = 37,696,176원
- 3년 남을 경우: 3,141,348 * 0.5 * 36 = 56,544,264원
- 4년 남을 경우: 3,141,348 * 0.5 * 48 = 75,392,352원
5급(26호봉)
- 1년 남을 경우: 3,583,600 * 0.5 * 12 = 21,501,600원
- 2년 남을 경우: 3,583,600 * 0.5 * 24 = 43,003,200원
- 3년 남을 경우: 3,583,600 * 0.5 * 36 = 64,504,800원
- 4년 남을 경우: 3,583,600 * 0.5 * 48 = 86,006,400원
4급(25호봉)
- 1년 남을 경우: 3,895,980 * 0.5 * 12 = 23,375,880원
- 2년 남을 경우: 3,895,980 * 0.5 * 24 = 46,751,760원
- 3년 남을 경우: 3,895,980 * 0.5 * 36 = 70,127,640원
- 4년 남을 경우: 3,895,980 * 0.5 * 48 = 93,503,520원
3급(24호봉)
- 1년 남을 경우: 4,357,780 * 0.5 * 12 = 26,146,680원
- 2년 남을 경우: 4,357,780 * 0.5 * 24 = 52,293,360원
- 3년 남을 경우: 4,357,780 * 0.5 * 36 = 78,440,040원
- 4년 남을 경우: 4,357,780 * 0.5 * 48 = 104,586,720원
명예퇴직수당 실수령액 정리
30년간 일하고 명예퇴직 한다는 가정에 따라 명예퇴직수당을 정리하면 아래의 표와 같습니다. 혹시 명예퇴직을 생각하고 계시는 분이 계시다면 앞서 알려드린 방법을 적용하여 계산해보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