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무원 사무관 주무관 급수·직책·하는일 모두 알아보기

같은 5급 공무원인데 일하는 기관에 따라서 과장이 될 수도 있으며, 팀장이 될 수도 있고, 또 주무관이 될 수도 있다는 사실 알고 계셨나요? 오늘은 많은 분들이 궁금해하고 헷갈려하는 주무관 급수와 조직체계에 대해 모두 알아보는 포스팅을 해보겠습니다.

주무관 급수의 범위

공직사회에서 주무관 급수는 5급~9급까지 다양하며, 이 중 직책을 받지 못한 실무자 모두를 통칭하는 단어입니다. 여기서 직책은 팀장, 과장, 국장, 실장, 담당관 등의 간부급 업무 말합니다.

이와 관련해서는 중앙부처, 광역자치단체, 기초자치단체에 따라 차이가 있기 때문에 이를 구분하여 설명하겠습니다.

덧붙여 본 글은 일반행정직을 기준으로 하여 작성하였으며, 타 직렬도 대부분 일치하는 내용이라 함께 참고하시면 되겠습니다.

중앙부처

중앙부처의 경우 대한민국 국가정부 조직상 최상급기관으로 1급 관리관까지 역할이 모두 정해져 있습니다. 3급부터 고위공무원에 속하게 되며, 통상적으로 4급 서기관부터 팀장의 직책을 갖게 됩니다.

때문에 9급 서기보부터 5급 사무관까지는 실무자로서 주무관의 호칭을 받게 됩니다. 즉, 중앙부처에서 주무관 급수는 5급부터 9급까지 다양하다고 보시면 되겠습니다.

직급직급명직위
1급관리관실장, 본부장, 책임관
2급이사관실장, 국장
3급부이사관국장, 과장
4급서기관과장, 팀장
5급사무관주무관
6급주사주무관
7급주사보주무관
8급서기주무관
9급서기보주무관

예컨데 행정안전부를 예로 들자면 차관 밑으로 대변인·차관보·실장은 1~2급 상당, 국장 2~3급 상당, 과장은 3~4급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그 밑으로 4~5급 팀장, 6~9급 주무관으로 포진된 조직구조를 갖추고 있지요.

광역지자체

광역지자체는 서울시청, 강원도청 등 광역 단위의 자치단체를 말합니다. 여기서 팀장은 5급 사무관이 맡게 되며, 주무관 급수는 6급 이하로 모두 실무업무를 담당하고 있습니다.

참고로 웬만한 광역지자체에서 1급은 대부분 없으며, 서울특별시 등 도시규모가 큰 일부 광역지자체에서만 존재하고 있습니다.

직급직급명직위
1급관리관실장, 본부장
2급이사관실장, 본부장, 책임관
3급부이사관국장, 부시장, 부군수 등
4급서기관과장
5급사무관팀장
6급주사주무관
7급주사보주무관
8급서기주무관
9급서기보주무관

아래의 서울시 조직도를 예로 들면 시장, 부시장을 제외한 부서장은 모두 1급 ~ 3급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그 아래 3~4급 과장, 5급 팀장, 6~9급 주무관이 순서대로 포진되어 있는 조직구조를 갖추고 있는 것이지요.

기초지자체

기초지자체는 서초구청, 광명시청, 양양군청 등 기초 단위의 지자체를 말합니다. 여기서는 6급부터 팀장 직책을 받게 되므로 7급 이하로는 모두 주무관이 되겠습니다.

직급직급명직위
1급관리관
2급이사관
3급부이사관
4급서기관국장
5급사무관과장
6급주사팀장
7급주사보주무관
8급서기주무관
9급서기보주무관

송파구청을 예로 든다면 국장 4급 서기관, 과장·담당관은 5급 사무관이며, 그 밑으로 6급 팀장과 7~9급 주무관으로 구성된 조직체계를 갖추고 있습니다.

직급별 업무

주무관(5급~9급)

중앙부처 8~9급 주무관의 경우 중요한 업무는 맡지 않고 5급 사무관의 업무를 주로 보조하거나 인허가 업무, 민원처리 등 비교적 단순한 업무를 처리합니다.

7~6급이 되면 중소 규모 사업 담당자로 일하게 되며, 5급 주무관이 되면 정책과 사업의 기획업무를 맡게 됩니다.

지자체의 경우 업무 스펙트럼이 워낙 다양해서 딱히 주무관의 업무가 무엇이라고 명확하게 정리해서 이야기 하기 어려운 부분이 있습니다.

지자체 공무원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아래의 포스팅을 참고해보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지방직 공무원 생활이 힘든 이유 5가지 – 직업에 미치다

팀장(4급~6급)

팀장은 중앙, 지자체 구분 없이 각 팀에 속한 직원(주무관)의 업무를 총괄 감독하는 역할 맡게 됩니다. 주무관이 작성한 기획 계획에 대해 검토하며, 팀 업무 추진을 위해 각 부처나 부서간 협의 등을 진행하게 됩니다.

사업설명회 등 업무 관련 행사에서 사회나 PT를 해야하는 경우도 많아서 자기가 맡은 팀 업무에 대한 폭 넓은 지식을 갖추고 있어야 합니다.

팀장은 과장과 주무관 사이에 있는 중요한 중간관리자로서 업무능력이 떨어지면 팀원간 불화가 생기고 업무 방향이 산으로 가거나 잘못되는 경우가 다수 발생하기도 합니다.

또 주무관 입장에서 오랜 기간 자신을 이끌어줄 인맥은 임기가 얼마 안남은 실과장이 아닌 팀장이므로, 좋은 팀장을 만나는 것이 공직사회에서는 상당히 중요한 요소로 작용하기도 합니다.

과장(3급~5급)

과장은 소속 부서에 속한 여러 팀을 총괄하고 책임지는 역할을 맡게됩니다. 과장부터는 기관의 중요 간부로서 직책을 갖고 있으므로 부서 업무 뿐만 아니라 기관 전체적인 관점과 대외적인 관점 모두를 고려하여 부서운영을 책임지는 역할을 수행합니다.

이 때문에 한 가지 사업에 집중하면 되는 주무관의 관점과 다른 여러 요소를 포괄적으로 검토해야하는 과장의 입장이 서로 달라서 사업추진에 어려움을 겪는 경우가 많은데, 이러한 갭을 해결해줄 수 있는 것이 중간자인 팀장의 역할입니다.

팀장이 못하면 팀장과 주무관 모두 고통을 받아야 하는 구조인 것이죠.

국장 이상(2급~4급)

사업이나 정책을 추진하다 보면 여러 부서의 협의가 필요한 경우가 자주 발생하는데요. 이럴 때 컨트롤타워가 되어줄 수 있는 것이 바로 국장입니다. 즉, 국장은 각 실과를 총괄하는 역할과 중요 정책과 핵심 사업을 중간결정 하는 역할을 맡습니다.

이와 함께 지자체의 경우 대외활동도 많이 있기 때문에 전용 차량도 함께 제공되기도 합니다. 지역에서 열리는 여러 행사에 참석해야 하며, 또 정책결정이나 예산확보를 위해 정부부처나 국회에 가야하는 일이 많기 때문입니다.

(참고) 주무관·사무관 연봉

최근 공무원 급여와 관련해서 부정적인 언론보도가 끊임없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솔직히 공무원 초임연봉 기준으로 바라보면 행시출신 제외하고는 7급이나 9급 모두 상당히 박봉이 맞습니다.

하지만 공무원 급여체계는 호봉제이기 때문에 시간의 흐름에 따라 안정적으로 급여가 꾸준히 상승한다는 메리트가 있습니다.

근무연수에 따라 주무관 급수가 상승하고 팀장·과장 등의 직책을 받게 되면 그만큼 급여가 상승하기 때문에, 어느정도 짬밥이 찬 공무원은 급여에 대해서 크게 이의를 제기하지 않는 것이지요.

이와 관련하여 작성한 포스팅이 아래 있으니 궁금하신 분들은 참고해보시기 바랍니다.

공무원 5급 사무관 연봉 모두 알아보기 | 직업에 미치다

9급 공무원 월급 연봉만 보고 안 좋다고 할 수 있을까? – 직업에 미치다

(참고) 7급 9급 주무관 승진

7~9급 출신 공무원의 경우 승진은 어떨까요? 서기관 이상 가는 경우가 상당히 많은데 어떤 루트를 타면 갈 수 있을까요? 공무원에게 있어 승진은 정말 중요한 요소이지요. 이와 관련해서는 아래의 포스팅을 참고해보시기 바랍니다.

7급 9급 출신 공무원의 업무·승진 등의 차이는 얼마나 날까? | 직업에 미치다